한강역사탐방
○ 행사개요
- 한강역사탐방' 프로그램은 한강 경관 및 역사·문화자원을 감상·공유하는 매력적인 관광해설과
교육을 제공하여 시민 및 관광객에게 한강변을 체험·감상한다. 또한 체험활동 등 시민들이
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직접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여 일상 속에서 즐기는
한강 역사문화를 활성화하고자 한다. 탐방객은 정해진 코스를 따라 한강 유역 및 인근
문화유산을 거닐며 한강해설사의 해설을 듣는다. 한강역사탐방은 총 16개 코스로 운영되며,
탐방객은 해당 코스를 거닐며 해당 코스와 관련된 한강의 역사를 탐방할 수 있다.
○ 행사일정 및 장소
- 행사 일정 : 2025.04.04 ~ 2025.11.30
- 행사 장소 :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동로 330 (여의도동) 한강공원 및 인근 문화유산
○ 행사내용
- 1코스(광나루길)
경강의 시작․전쟁을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하남위례성 – 도미부인 동상- 광진교 8번가이다.
- 2코스(송파나루길)
도시의 형성․발전을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삼전도비 – 석촌호수 – 송파나루비 - 석촌동 고분군이다.
- 3코스(뚝섬나루길)
조선건국과 목재집결을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전관원 – 마조단 – 살곶이다리 – 뚝섬 기동차길이다.
- 4코스(노들나루길)
선비의 충효사상을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효사정 – 학도의용군 현충비 - 용양봉 저정 – 사육신 공원이다.
- 5코스(동작진길)
명당 동작진의 역사를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동작나루표석 – 국립현충원이다.
- 6코스(여의나루길)
한강의 기적을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국회의사당 – 여의도한강공원 - 밤섬 - 전통의 숲이다.
- 7코스 (서강나루길)
세곡과 어류의 운반을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광흥창 - 공민왕사당 – 서강나루표석 – 밤섬이다.
- 8코스(양화나루길)
외국문화의 유입을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외국인 선교사 묘원 - 양화진터 – 절두산 순교성지이다.
- 9코스(선유도/봉길)
한강 개발과 환경을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선유도 유래비 – 선유도공원 – 전망데크이다.
- 10코스(공암나루길)
한강 설화와 허준을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공암나루 – 광주바위 – 허가바위 – 허준박물관(유료 입장)이다.
- 11코스(겸재정선길)
겸재의 한강그림을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양천향교 – 소악루 - 겸재정선미술관(유료 입장)이다.
- 12코스(난지꽃섬길)
난지도의 어제와 오늘을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월드컵경기장 – 난지한강공원 – 문화비축기지이다.
- 13코스(한강 백년다리길)
경의선 철길과 한강 근대사를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용산역사박물관 -새남터 성당 – 한강대교 - 노들섬이다.
- 14코스(고산자길)
한강과 김정호의 지도를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중랑천 – 응봉산- 무쇠막터 - 달맞이봉 - 저자도 - 옥수역 3번 출구이다.
- 15코스(마포나루길)
마포가 만든 한강의 여러 모습을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박우물터-담담정 터-마포종점 유래비-정구중 가옥이다.
- 16코스(서빙고길)
조선시대 얼음의 보관과 유통을 주제로 하며 주요 이동 경로는 서빙고 표지석 - 서빙고 부군당 - 한강예술공원
- 한강맨션 - 거북선나루터
- 회당 2명 이상 신청 시 코스가 운영됩니다. (회당 2~15명 정원)
- 단, 묘역을 방문하는 양화나루길은 최소 2명 이상, 최대 7명까지 참여 가능합니다.
- 별표(*)표시된 입장료가 있는 박물관 등의 입장 및 내부 해설은 지원하지 않습니다.
○ 관람신청(입장료 및 사전신청 등)
- 무료
○ 문의
- ☏ 02-6953-9239
본 정보는 주최사가 제공한 자료를 바탕으로 "코드엠"이 편집 및 그 표현방법을 수정하여 작성된 것이며 게재한 자료에 대한 오류와 사용자가 이를 신뢰하여 취한 조치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.
주최사 사정으로 인하여 관련 정보 및 일정이 변경될 수 있으니 주최사 홈페이지 등을 통해 상세내용을 수시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